반응형
📌 요약:
ETF에도 은어가 있다고요?
요즘 투자 커뮤니티나 유튜브 댓글에서 자주 보이는
ETF 신조어 10가지를 정리했습니다.
처음 듣는 말도, 알쏭달쏭한 뜻도
오늘 이 글 하나로 다 이해하고 가세요!
🧾 1. 곱버스
- 정의: 곱하기(레버리지) + 인버스
- 설명: 주가가 하락할 때 2배 수익을 노리는 'KODEX 200선물인버스2X' 같은 상품
- 사용 예시:
“요즘 장 안 좋아서 곱버스 탔다가 멘붕 왔음…”
🧾 2. 타이거 or 코덱스
- 정의: ETF 운용사 브랜드명
- 설명: TIGER(미래에셋), KODEX(삼성자산운용)
- 사용 예시:
“타이거 반도체 vs 코덱스 2차전지, 뭐가 나을까?”
🧾 3. 불리버스
- 정의: 불(강세장) + 리버스(역방향)
- 설명: 상승장을 예상하면서 역발상 투자를 한다는 뜻 (패러디용)
- 사용 예시:
“불리버스 탔는데 또 물렸네…”
🧾 4. 원유 곱버스
- 정의: 원유 관련 지수에 2배 인버스로 투자
- 설명: 국제유가 하락에 베팅할 때 사용하는 ETF
- 주의사항: 변동성 크고 리스크 큼!
🧾 5. 기초자산
- 정의: ETF가 추종하는 실제 지수나 자산
- 예시: 코스피200, 나스닥100, 금, 원유 등
- 사용 예시:
“기초자산이 뭔지부터 알아야 ETF를 고를 수 있어요.”
🧾 6. 분산투자 필수템
- 정의: 다양한 자산에 소액으로 분산 가능
- 설명: ETF 하나만 사도 수십 종목에 자동 분산
- 사용 예시:
“나는 개별주보다 ETF로 분산투자하는 게 맞는 듯!”
🧾 7. 모멘텀 ETF
- 정의: 상승 탄력 있는 종목 중심으로 구성
- 특징: 단기 상승장에 적합
- 사용 예시:
“요즘엔 AI 모멘텀 ETF가 인기래~”
🧾 8. 패시브 vs 액티브 ETF
- 패시브: 지수 그대로 따라감 (ex. KODEX 200)
- 액티브: 운용사가 종목을 선별해 구성
- 비교 포인트: 수수료, 전략, 추적 오차
🧾 9. 테마 ETF
- 정의: 특정 산업군(예: 반도체, 2차전지, AI 등)에 집중 투자
- 설명: 장기 유망 산업을 보고 투자
- 주의사항: 유행 타므로 시기 잘 보고 진입!
🧾 10. FANG+ ETF
- 정의: 미국 대형 IT주(페이스북, 애플, 아마존 등) 중심 ETF
- 설명: 글로벌 성장주에 투자하고 싶을 때 활용
- 사용 예시:
“미국 ETF 처음이면 FANG+도 괜찮아요!”
⚠️ 주의사항
- 레버리지 ETF는 단기용! 장기 보유 시 손실 가능
- 인버스 ETF는 하락장이 길 때만 유효
- 수수료, 기초자산, 추적 오차는 반드시 확인!
✍️ 마무리 한마디
ETF 투자도 용어를 알면 10배 쉬워집니다.
투자 뉴비부터 찐 고수까지,
오늘 정리한 ETF 신조어로 댓글 대화도 술술~

반응형